닫기

[인터넷 사기, 피해의 늪②] “8000만원 피해자도…지급정지 왜 안되나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12010005912

글자크기

닫기

정민훈 기자 | 김임수 기자

승인 : 2025. 01. 13. 18:00

인터넷 사기조직 피해자모임 방장 인터뷰
9개월 만에 피해자 9500명, 피해금액 73억여원
"보이스피싱과 인터넷 중고거래 사기 방식 똑같아"
GettyImages-jv13128338 (1)
/게티이미지뱅크
"경찰에 신고 접수하면 대개 1~2달 수사하고 결과를 통보하더라고요. 처음엔 계좌주 관할로 사건 이송했다, 진범 못 찾아 미제처리한다는 식이었는데, 피해자모임방 규모가 커지면서 경찰에서도 단순한 소액사기가 아니라고 느꼈는지 요즘엔 계좌주를 검거해 검찰로 송치했다는 소식이 많아졌어요. 아직 진범인 사기조직은 안 붙잡혔지만요."

수도권에 거주하는 회사원 박아무개(가명)씨는 지인 부탁을 받아 지난해 3월 서울에서 열린 MLB 개막식 티켓을 구하려다 140만원을 고스란히 날렸다. 이때부터 오기가 생긴 그는 카카오톡에서 같은 사기조직에 당한 피해자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하나둘씩 모이기 시작한 지 9개월 만인 지난달 29일 기준, 피해자는 9500여명, 총 피해금액은 약 72억9000만원에 달한다. 실제 사기피해를 당한 뒤 피해자방에 참여하지 않은 숫자를 감안하면 피해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박씨도 처음에는 피해자방 규모가 이렇게 커질 줄은 몰랐다고 혀를 내둘렀다. 그는 "사기조직은 SNS 계정과 계좌를 매일 바꿔가며 범행을 하고 있다. 오늘은 박OO 계좌로 송금해 달라고 하다가도, 다음 날 연락해보면 배OO, 김OO 등 매일 계좌주 이름이 바뀐다. 이런 식으로 범행에 이용되는 계좌주가 수백명에 이르고 있는데 아무 것도 바뀌는 것이 없었다"고 전했다.

KakaoTalk_20250112_145851855
9000여명 규모의 인터넷 사기조직 피해자방을 운영하는 박아무개씨가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하고 있다/정민훈 기자
실제 아시아투데이 취재팀이 박씨가 만든 피해자방을 살펴보니 콘서트 티켓이나 상품권서부터 전자기기, 유아용품, 가구에 이르기까지 피해 품목이나 금액이 천차만별이었다. 한 피해자의 경우 수십만원짜리 콘서트 티켓을 사려다 사기조직의 반복적인 입금 요구에 속아 8000만원을 송금하고서야 사기임을 깨닫기도 했다고 한다.

박씨는 "요즘 사기조직들은 전화번호도 깨끗하고, 주민등록증도 다 보여주고, 동영상 인증까지 해준다. 속이려고 작정하면 안 속을 수 없을 만큼 지능화됐다"면서 "이런 사기에 안 속으려면 직접 만나 거래하는 방법밖에는 없고, 계좌주를 사기조직의 일원으로 보고 처벌하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일부 피해자들의 경우에는 자신이 돈을 보낸 계좌주와 별도의 채팅방을 만들어 피해회복 방안을 논의하기도 한다. 그는 "(계좌주 말을 들어보면) 주로 대출사기글을 통해 많이 속아 넘어간다. 대출 금액을 늘리려면 통장입출금 내역이 더 있어야 한다면서 돈을 통장에 입금할테니 이를 제3의 계좌로 보내라는 요청에 응하는 것"이라며 "계좌주들은 비밀번호나 계좌 자체를 타인에게 넘긴 것이 아니라서 별문제 없다고 생각하고, 실제 경찰에서 사건을 중재할 때도 계좌주에게 죄가 없다는 식으로 말한다"고 설명했다.

박씨는 그러면서 "이러한 대출사기글에 속아 단순히 돈을 전달한 것도 큰잘못이라고 본다. 대출금 더 받겠다고 자기 입출금 내역을 조작한 것이 아닌가"라며 "자신도 피해자라며 하소연하던 계좌주가 나중에 알고보니 사기 범죄로 집행유예 기간 중이었던 범죄자였던 사실이 들통나기도 했다"라며 이들의 선의를 함부로 믿어서는 안된다고도 역설했다.

박씨는 또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이 인터넷 중고거래 사기판으로 넘어오고 있는 것같다고도 밝혔다. 보이스피싱 관련해 지난해 통신사기피해환급법이 시행되는 등 경각심이 늘어나고 금융기관의 지급정지 등으로 현금 유통이 원활하지 않자 SNS 중고거래 시장으로 영역을 넓혔다는 것이다.

박씨는 "사실 보이스피싱과 중고거래 사기가 방식이 똑같다. 해외에서 활동하며 계좌주를 속여 돈을 여러 경로로 전달한 뒤 가상화폐 등으로 바꿔 해외로 빼가는 방식"이라며 "보이스피싱범죄의 경우 피해사실을 안 순간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할 수 있게 됐는데, 온라인 거래에 있어서도 비슷한 수준으로 피해자 구제를 위한 지급정지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민훈 기자
김임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