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美 철강관세 리스크 대응 방안 3월 중 마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3010006448

글자크기

닫기

강태윤 기자

승인 : 2025. 03. 13. 10:48

12일 美 철강 관세조치 발효
안덕근 산업부 장관, 업계 CEO와 간담회
(25.03.13)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06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포스코 회의실에서 열린 '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를 비롯해 철강산업의 대내외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이달 안으로 조속히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안덕근 장관은 13일 포스코센터에서 철강업계 간담회를 갖고 美 관세 관련 이 같은 대응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업계의 주요 참석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서강현 현대제철 사장·박성희 KG스틸 사장·이경호 철강협회 부회장 등이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2018년부터 모든 철강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우리나라는 연 263만톤 내에서 면제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 같은 예외 조치가 모두 폐지될 것이 지난달 예고됐고 전날 우리시간 오후 1시부로 발효됐다. 이에 따라 한국산 철강이 미국에 수입될 시 232조에 따른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정부와 업계가 원팀으로 대응해 나가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번 간담회에서 안 장관은 최근 방미 결과를 공유하고 현재 방미 중인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해 고위급 교류를 통해 총력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위기 돌파를 위한 정책 방향을 공유하면서 "불공정 무역 시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 우려되는데 정부는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덤핑·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기능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안 장관은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과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며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25.03.13)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0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포스코 회의실에서 열린 '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에서 철강업계 관계자 등과 대응 현황 등을 논의하고 있다. / 산업통상자원부
강태윤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