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가 지난 1 월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사고조사 진행 현황에 대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보조배터리의 잔해를 감정한 결과 다수의 전기적 물체가 녹은 흔적인 용융흔이 식별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좌측 30번 좌석 상단 선반 주변을 발화지점으로 한정할 수 있다고도 전했다.
14일 사조위는 지난달 3일 합동화재감식 수행 중 객실 좌측 28열부터 32열까지의 좌석 부분에서 확보한 전기배선, 기내 조명기구, 보조배터리 잔해등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이송해 감정한 결과를 밝혔다.
국과수는 배터리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하면서 최초로 발화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절연파괴는 양극과 음극이 합선되는 상태를 말한다.
다만 배터리 잔해가 전반적으로 심하게 연소돼 어떤 원인에 의해 배터리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됐는지는 직접적인 논단이 어려운 상태라고 전했다.
이어 전기배선과 같은 항공기 내부 구조물은 발화와관련지을 전기적 특이점 등이 식별되지 않은 상태로, 항공기 내부 시설물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