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尹 선고일 ‘오리무중’… 대통령실 ‘경우의 수’ 동시대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7010014639

글자크기

닫기

이충재 기자

승인 : 2025. 03. 26. 18:08

정진석 실장 중심 내부 시스템 등 점검
탄핵 인용·복귀… 모든 가능성 열어놔
尹 '관저정치' 예상 깨고 20일째 침묵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헌법재판소의 선고만을 남겨둔 가운데 2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가 적막감에 쌓여 있다. /연합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 선고를 앞둔 26일. 용산 대통령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차분히 지켜보겠다"는 메시지만 내놓은 채 무거운 침묵을 지켰다. 헌재의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내부적으론 '운명의 날'을 앞둔 초조한 기색이 역력했다. 특히 헌재가 내놓을 '경우의 수'를 모두 열어두고 윤 대통령의 복귀 시나리오와 함께 대국민 메시지 등을 가다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당장 집무실로 복귀하더라도 국정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내부 시스템을 점검하는 동시에 즉각적인 업무 보고 등이 이뤄지도록 준비하고 있다. 자칫 혼란에 빠질 수 있는 헌재 선고 당일의 'D데이 구상'도 구체화하고 있다. 헌재의 판결에 따른 법리적 해석과 입장이 담긴 '1차 메시지'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에서 내고, 향후 구상 등이 담긴 대국민 메시지는 대통령실에서 내는 방향이다. 최대 관심인 대국민 메시지는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을 중심으로 각계의 의견을 청취하며 취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 실장은 대통령의 부재 기간에도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참모들을 다독이며 5선 의원 출신의 관록을 발휘하고 있다.

여기에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탄핵 심판을 지켜본 인사들을 비롯한 다양한 그룹의 조언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참모 출신 한 인사는 "우리는 8년 전에 속수무책이었다. 대응 매뉴얼이라고 할 것도 없고, 탄핵 당일 심리적으로 패닉에 빠졌다"며 "용산은 우리처럼 당하지 말고, 냉철하게 '모든 가능성'을 짜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음을 비웠다'며 침묵 중인 윤 대통령의 행보도 헌재 선고일과 맞물려 시작될 것이란 관측이다. 현재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고 있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탄핵 선고를 앞두고 지지층을 향해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내는 '관저정치'를 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으나 헌재의 선고 전까지는 최대한 절제된 정중동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이 기각되면서 야당이 주도한 고위 공직자 탄핵 시도가 '9전 9패'를 기록한 만큼, 불필요하게 여론을 자극하기보단 차분하게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여권 관계자는 "헌재 선고를 앞두고 윤 대통령의 말씀이나 활동은 물론 용산의 메시지도 불필요한 이슈를 부각시킬 수 있다"며 "정치적으로나 법리적으로나 매우 적절한 스탠스를 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