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LG유플러스, 서울경찰청과 공조로 보이스피싱 피해 막았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2010000867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04. 02. 09:03

0403 LG유플러스, 서울경찰청과 공조해 보이스피싱 피해 막았다
LG유플러스가 서울경찰청과 손잡고 보이스피싱이 피해가 의심되는 소비자의 금전 피해를 막았다고 2일 밝혔다.

해당 소비자는 지난 2월말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몰래 설치한 악성 앱 때문에 모든 전화와 문자가 탈취되고 있었다. 소비자는 큰 금액을 송금하기 직전이었다. 서울경찰청 경찰과 LG유플러스 직원은 소비자 집을 방문해 함께 경찰서로 이동해 위험 상황을 인지시키고, 악성 앱을 삭제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제어 서버를 포착하기 위해 자체 고객피해방지분석시스템을 가동해 실시간 탐지를 진행하고 있다.

탐지 결과를 주기적으로 전달받는 경찰은 금융보안원 등과 검증·분석을 거쳐 실제 악성 앱 설치로 피해가 예상되는 시민을 방문하고 있다. 보이스피싱 조직의 노림대로 악성 앱이 설치되면, 스마트폰 내 전화·문자 등의 기능이 가로채기당하므로, 피해를 막기 위해 경찰이 직접 피해자를 만난다.

현장에서 접한 악성 앱 설치자들은 최근 빈발하는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의 표적이었다. 신청한 적 없는 카드가 배송될 것이라는 안내에 피해자가 당황할 때, 보이스피싱 조직은 휴대전화에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며 피해자에게 직접 원격 제어 앱을 설치시키고 악성 앱을 심는다.

이렇게 스마트폰을 장악한 뒤, 보이스피싱 조직은 피해자들에게 112, 1301(검찰), 1332(금융감독원) 등에 직접 신고할 것을 유도한다. 소비자가 어디로 신고해도 전화는 범죄 조직이 가로채게 된다. 하지만 고객은 경찰, 검찰, 금감원 등에 전화를 걸었다고 믿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전 피해에 취약해진다.

LG유플러스의 소비자 피해방지시스템이 악성 앱 활동을 포착하면, 경찰은 유관기관과의 추가 분석을 실시하고, LG유플러스와 피해 예상자를 방문하는 공조가 이뤄진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현장 방문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보이스피싱 조직이 쉽게 탈취할 수 없는 방법으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악성 앱 의심 경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경찰청 등의 협조로 지난해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에 업계 최초로 적용된 보이스피싱 탐지 시나리오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와 서울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공조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CPO, 전무)은 "보이스피싱 상황을 알리는 체계를 고도화해 안전하게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무송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 피싱범죄수사계장은 "경찰로부터 악성앱 설치 사실을 안내받고도 경찰을 보이스피싱 조직원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의심된다면 가까운 경찰서나 지구대를 직접 방문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특히 어떤 경우에도 경찰이나 검찰이 금전을 요구하는 일은 없다는 점을 기억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