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설] 체코 첫 K-원전, 민주당 더는 발목 잡지 말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1010000483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05. 02. 00:01

체코 두코바니 원전의 모습. /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사업비 26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자로 최종 선정돼 오는 7일 본계약을 앞두고 있다. 이는 'K-원전'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우리의 원전 수출은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에 성사된 것이다. 한수원은 3년 전부터 수주전에 뛰어들어 가격 경쟁력과 공사 기간 준수 능력 등에서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프랑스전력공사(EDF) 등 세계적 원전 업체보다 우위를 보인 끝에 성과를 이뤄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현재 원전 4기를 운영 중인 두코바니 원전 단지에 5·6호기를 추가 건설하게 된다. 단일 건설 사업으로는 체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된다고 하니 양국이 거는 기대가 크다.


이번 원전 수주는 반도체·조선·철강·자동차 등에 이어 원전도 수출의 견인차이자 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업종으로 자리 잡게 됐음을 뜻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발 '관세 전쟁'으로 우리 수출과 경제가 잔뜩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들려온 체코 원전 수주 성사는 이런 점에서 우리 경제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올해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성장률이 제로에 가깝게 추락할 가능성이 큰 점을 감안할 때 K-원전 낭보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당장 돈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겠지만 2036년 상업 운전 시작 때까지 외화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돼 경제 회복에 실질적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한수원은 이제 본계약 체결에 집중하고 계획에 맞춰 공기 준수, 안전 확보 등을 차질 없이 진행해야 한다.

한수원 주도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한전기술·한전KPS·한전원자력연료 등 한국전력 그룹 계열사와 민간업체 두산에너빌리티·대우건설은 한수원과 적극 협력해 K-원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쌓아가도록 애써야 한다.

다만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의 K-원전 '발목잡기'가 되풀이돼서는 절대 안 된다. 야권은 지난해 체코 원전 수출이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고 덤핑 수주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야권은 체코 신규 원전의 가격이 국제 시세보다 높게 책정됐다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서 따지겠다는 태세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체코 원전 수주가 선진국 경쟁업체들을 따돌리고 달성한 매우 의미 있는 사업이라는 점이다. 무조건적 발목잡기는 국민이 용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오히려 국회 차원에서 체코 K-원전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시행에 옮기는 게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원전 수출은 국가 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국가 비즈니스'라는 점에서 특히 더 그렇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