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분양 물량 상반기보다 2배 많은 17만여 가구
대출 규제 여파로 지역·단지별 양극화 심화할 듯
|
1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상반기 서울 아파트 1·2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69.21이었다. 같은 기간 전국(8.87대 1)과 비교해 7.8배 높은 수준이다.
서울과 전국 아파트 간 청약 경쟁률 격차는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벌어지기 시작했다는 게 부동산R114 측 분석이다.
청약 광풍이 불었던 2021년 말 기준 서울 평균 청약 경쟁률은 164.13대 1인 반면, 전국 평균은 19.67대 1로, 8.34배 낮았다.
부동산R114는 2020년에는 서울에서 약 4만3000가구가 분양됐지만, 2021년에는 분양 물량이 1만가구로 급감한 데 따라 희소성이 부각된 결과로 보고 있다.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시세 차익 기대감과 저금리 환경 등이 맞물린 점도 배경으로 꼽고 있다.
2022년과 2023년, 2024년 서울과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 격차는 각각 1.48배, 5.47배, 8.24배 수준이었다.
2022년에는 집값 고점 인식이 확산되고 하반기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부담이 커지면서 분양시장은 위축되기 시작했다. 고분양가 기조 및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본격 적용되며 자금 조달 부담이 커지면서다.
다만 2023년 이후 신규 분양 아파트의 희소성이 지속되고 특례보금자리론 한시 시행, 고분양가 기조 속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의 시세 차익 기대감, 추첨제 확대 등 정책 완화가 더해지며 서울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전국을 크게 웃돌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상반기(7만349가구)보다 2배 이상 많은 17만1118가구의 분양이 예정돼 있다. 하지만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고, 정책 금융 상품 한도 축소 및 전세대출 규제 강화로 청약 당첨 이후 잔금 마련에 대한 부담이 커진 점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일부 고분양가 단지나 비선호 입지에서는 청약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반면 서울 지역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인기 단지와 희소성 높은 정비사업 물량이 공급돼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일부 후분양 단지는 입주까지 잔금 마련 기간이 촉박해 경쟁이 다소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하반기 청약을 준비하는 수요자는 가점이 낮을 경우 추첨제 비율이 높은 단지나 특별공급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현금 여력이 충분하다면 선호 입지이지만 분양가가 높아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단지를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잔금 및 중도금 대출 가능 여부 등 자금 계획을 사전에 점검해 청약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