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탄소중립 실천론 논한 산업계…최태원 “국민 인식 바꿔야 넷제로 길 실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7375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3. 31. 17:57

31일 탄소중립과 에너지정책 세미나 개최
학계·시민단체 등 전문가 탄소중립 방법 토론
최태원, 사후 형태 인센티브 시스템 제시
사본 -001_250331 탄소중립과 에너지정책 세미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앞줄 왼쪽 세번째부터)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1일 상의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과 에너지정책 세미나'에서 참석자들과 박수를 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산업계·학계·시민단체와 함께 실질적인 탄소중립 실천론을 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행사를 직접 제안,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한 최태원 회장은 국민들의 인식을 바꿔야 진정한 넷제로(Net-Zero, 탄소중립)의 길을 실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31일 최 회장은 이날 대한상의와 CF연합이 상의회관에서 공동 개최한 '제7회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에서 "우리는 가능한 탄소문제를 늦게 대응해서 나름대로 우리 생활을 하던 대로 유지할 것인지, 혹은 한 번도 못해본 에너지 독립을 향해 세상을 바꿀 것인지 딜레마에 빠져있다"며 "국가와 국민이 이 문제를 스스로 결정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탄소중립, 어떻게 하나요?'를 주제로 구체적인 탄소중립 방법론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회장을 비롯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회성 CF연합 회장 등 정부 관계자, 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주요인사 3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최 회장의 제안으로 지난 2022년부터 시작됐다. 급속도로 변하는 친환경 추세에 매년 두 차례 탄소중립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번 행사는 7회째를 맞이했다.

세미나 첫 세션에서 전문가들은 AI(인공지능) 기술 확대에 따라 폭증하는 데이터센터의 현 주소와 국내 전력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편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분산전원의 필요성과 전력시장의 경쟁체제, 요금 자율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토론 이후 지난해부터 언급해온 국민 차원의 '사후 형태 인센티브 시스템' 도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탄소중립에 인식 있는 사람이다, 아니다 단순히 판단하는 것이 아닌 그런 활동을 사후평가해서 리워드를 줘야 한다"며 "텍스 크래딧(세액 공제)이든 현금지불 등 새로운 경제체제를 만드는데 인센티브가 들어가지 않는 한 바뀌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탄소중립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달성하려면 현재 시스템에서 완전히 다른 걸로 바꿔야 하는데, 사실 엄청난 시간이 드는 얘기"라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당장 돈이 안 들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게 경제단체와 시민단체들이 시민에 대한 인식 변경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 회장은 행사 개최 목적도 여기에 있단 설명이다. 최 회장은 "사실 오늘 논의된 (국가 주도의 전력시스템 등) 문제들은 AI 때문이 아닌 수십년째 나오던 얘기"라며 "여기에 대한 해답은 (탄소중립 시민 참여 방안에 대해 논의한) 두 번째 세션에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두 번째 세션에서는 환경운동연합, 에너지시민연대, 자원순환사회연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에코나우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환경 분야 시민단체들이 대거 참여해 토론을 진행했다. 시민단체 대표들은 각 단체별 탄소중립 활동과 캠페인 현황을 소개하고 애로사항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또 국민들의 인식 개선에는 '표심'의 문제도 해결해야 함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의 전력 문제를 보면 정치적 문제다. 정치적 압력이 세지면 전기값을 조정하는 식"이라며 "그렇다면 정치적인 문제를 어떻게 푸냐. 제일 핵심은 돈이 아니라 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을 논하려면 정치와 법제에 반영할 지도자가 필요하고 그러한 정치 지도자를 뽑아야 한다"며 "결국 표심이 가야 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