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도 안했는데 '매국협상' 낙인
"외교통상 현안까지 정쟁대상" 지적
|
◇한미협상 시작도 안 했는데 '매국협상' 낙인찍기
23일 민주당은 한미 통상협의를 하루 앞두고 "한 대행은 무책임한 협상을 벌여선 안된다"며 집중공세에 나섰다. "이완용의 매국", "내란 패밀리" 등 원색적 표현도 쏟아냈다. 그동안 여론의 역풍을 우려해 접어뒀던 탄핵카드와 내란 특검법을 다시 꺼내들며 한 대행을 거칠게 몰아붙였다.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한 대행이 내란 방조자임에도 차기 대선의 입맛을 다시고 있다"며 "조속히 내란 특검법을 재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한 대행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누릴 것은 다 누리고 공직 사퇴 기한을 꽉 채운 시점에 마치 국운의 결단을 한 듯 대통령 후보로 변신을 해 스포트라이트를 받겠다는 심보"라고 비난했다.
특히 민주당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한미협상을 "매국협상", "졸속협상"으로 낙인찍기를 시도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한 대행의 대선스펙쌓기 졸속협상'은 사리사욕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의 매국과 다를 바 없다"며 "한 대행의 졸속협상 강행 의도는 국가 미래를 볼모 삼은 사전 선거 운동"이라고 주장했다.
◇총공세 배경은?…"한덕수 뜰 수 있다는 조바심"
김민석 최고위원을 비롯한 당내 주요 인사들은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 앞에서 '한덕수 출마용 졸속 관세 협상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한 대행은 무리한 졸속협상 진행과 타결을 압박해 협상팀을 흔들지 말라. 더는 관세협상을 주도하지 말라"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17일부터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졸속 대미협상 반대'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에선 대선까지 남은 40여 일 동안 한 대행이 주도하는 대미 통상협상의 성패 여부가 최대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현재 보수진영의 여론조사 지지율 선두인 한 대행이 협상 성과를 발판 삼아 대선무대로 직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대행이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대사를 지낸 외교전문가로서 최대 현안인 트럼프 리스크를 해결할 '외교 대통령'으로 급부상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에 따른 것이다.
이에 민주당 출신 한 인사는 "이번 대선에 특별한 변수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한미 통상협상에서 한덕수가 뜰 수 있다는 조바심이 생겨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경제단체 관계자는 "관세전쟁이 벌어지는 비상 상황에서 정치권이 정쟁할 때가 아니지 않나"라며 "초당적으로 대처해 우리 산업의 피해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매진해 달라"고 말했다.
한국 경제의 운명이 달린 한미 통상협의는 우리 시각으로 24일 밤 9시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다. 우리 측에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표로 나선다. 최 부총리는 지난 22일 인천국제공항 출국길에서 진보진영의 "매국협상 중단하라"는 구호를 들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