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베선트 재무장관 등 대중 유화 메시지
중 외교부 "대화의 문 오픈"
"미·중 관세 인상·설전에서 변화"
|
트럼프 행정부가 연일 중국에 대해 유화 메시지를 발신하는 상황에서 나온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미·중 무역전쟁이 다소 완화할 가능성이 크다.
◇ WSJ "트럼프, 145% 대중국 관세, 50~60%로 인하 가능성"
"미 전략적 이익 관련 중국 품목에 최소 100%...비안보 품목에 35% 관세 검토"
WSJ은 이 사안을 잘 아는 인사들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고, 백악관 고위 관리가 대(對)중국 관세율이 대략 50~60%로 낮추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가 지난해 말 제안한 것과 유사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고 일부 인사를 전했다. 특별위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 관세를, 그 외 국가안보와 무관한 품목에는 35% 관세를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을 제안했었다.
다만 백악관과 가까운 일부 인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낮추면서도 미국을 세계 2대 경제대국인 중국으로부터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절반으로 낮추기로 결정해도 관세 수준은 여전히 많은 중국산 전기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 기타 제품에 대해 미국 시장이 거의 폐쇄될 것임을 의미한다고 WSJ은 지적했다.
이 논의는 여전히 유동적이고 몇 가지 선택지가 테이블 위에 있는 등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인사들이 전했다. 한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인하를 일방적으로 낮추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미국산에 부과한 125%의 관세를 맞추는 '보복 관세'를 인하하는 등 일부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미국과 협상을 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며 "관세에 관한 결정을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기 때문에 그 외 모든 것은 완전한 추측일 뿐"이라고 말했다.
|
"미·중 관세 인상·설전에서 변화"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협상 총괄 격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국제금융연구소(IIF) 주최로 열린 연설 및 대담 행사 뒤 취재진과 만나 WSJ 보도에 대해 "그런 논의가 진행된다고 (해도) 놀라지는 않을 것"이라며 "양측이 상호적 방식으로 내린다고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중의 관세율이 "무역 금수 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 간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
전날 JP모건 체이스가 워싱턴 D.C.에서 비공개로 주최한 투자자 행사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가 사실상 무역 금지 조치로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상황이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 것을 되풀이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전날 백악관에서 중국과의 무역협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며 펜타닐 유입 문제와 다른 여러 요소로 중국산에 대한 관세율이 145%가 됐지만, "(무역협상 이후) 그 정도 높게 있지는 않을 것이며 그것은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다. 그러나 제로(0%)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郭嘉昆) 대변인은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인하 시사에 대해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우되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날 발언이 그의 양보(folding) 신호로 받아들여졌다고 중국 관리들과 협의하는 인사들이 전했다.
미·중이 합의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잇따른 관세 인상과 신랄한 말을 주고 받고며 전 세계 증시가 수년 만 최악의 주들을 보낸 것에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WSJ은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