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폭발적 감소하는 중산층으로 中 경제 휘청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5010001355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5. 05. 09:21

원래 中 중산층은 소수
부동산 가격 폭락 타격 심각
산업 고도화로 노동력 수요도 감소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의 중산층이 최근 수년 동안 폭발적으로 감소하면서 경제에 큰 타격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게다가 개선 조짐도 미미한 탓에 미국을 추월할 경제 대국 중국의 등장은 어쩌면 현실로 나타나기 어려울 수도 있어 보인다.

중산층
한 매체의 만평에서 보듯 중국에서 중산층은 자가 외에 금융 자산 200만 위안(元·3억9000만 원) 이상을 보유한 이들을 의미한다. 그러나 많지 않다. 중국 전역에 대략 3000만 가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급격하게 줄어들었다고 해야 한다./징지르바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중산층의 다소(多少)와 상당한 상관 관계가 있는 중국의 지니계수(부의 불평등을 0∼1로 나타내는 지수·0으로 움직일수록 평등함)는 세계적으로 높기로 유명하다. 통계 당국이 마사지를 한 것이 분명한데도 공식적으로는 0.47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소수의 억만장자가 부를 독점하는 것으로 유명한 미국의 0.4 전후보다 훨씬 높다.

문제는 크레디트 스위스를 비롯한 세계적 공신력의 금융기관들이 발표하는 수치의 경우 경악스러울 만큼 더 높다는 사실이 아닌가 보인다. 최고치가 무려 0.704에 이른다. 이는 달리 말해 공산국가인 중국의 중산층이 터무니 없이 적다는 얘기가 된다. 최근 들어 중국 당국이 관련 통계치를 발표하지 않는 것은 다 까닭이 있다고 해야 한다.

이런 현실에서 최근 중산층이 폭발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의미하는 바가 무척 크다. 거의 궤멸 상태가 됐다고 해야 한다. 이렇게 된 이유는 당연히 있다. 무엇보다 지난 2021년 하반기에 글로벌 500대 기업 랭킹 122위까지 기록한 거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진 이후부터 본격화된 부동산 산업의 몰락을 가장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 가격이 악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이상하다고 해야 하니까 말이다.

실제로도 엄청나게 떨어졌다. 부동산 불패 신화를 이끌던 베이징과 상하이(上海) 등을 비롯한 대도시들의 상황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최고점 대비 최소한 30% 전후 폭락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분위기로 봐서는 상당 기간 동안 반등은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똘똘한 부동산 한 채만 보유해도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현실에서 이 상황의 도래가 말해주는 결론은 분명하다. 상당수 중산층이 하층민으로 계층 이동을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산업 고도화로 노동력 수요가 감소한 현실 역시 거론해야 한다. 여기에 낮은 임금 인상률, 속속 나타나는 미중 관세 및 무역전쟁의 부작용들, 일부 지역에서 이미 악몽이 된 실업대란도 중산층의 폭감에 한몫을 단단히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부동산 두채를 보유한 덕에 과거 과소비에 나섰던 베이징 시민 라이잉후이(賴英輝) 씨가 "이제 소비가 미덕인 시대는 갔다. 어떻게든 절약을 해서 살아남아야 한다"면서 앞으로 절약을 생활화하겠다고 다짐하는 것은 확실히 괜한 게 아닌 듯하다.

중산층이 무너지면서 소비가 줄어들 경우의 부작용은 심각해질 수 있다.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의 물가 하락)이 일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후 계속 사이클처럼 도래할 현실은 끔찍해진다. 기업 파산, 실업자 증가 등의 악순환도 반복될 수밖에 없다. 중국 경제가 현재 상당히 심각한 국면에 직면해 있다고 단언해도 무방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