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 있는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단체 소통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침체된 내수시장의 숨통을 틔이게 하는게 중요해 오늘 진행한 '내수·소비 활성화 캠페인'이 폭넓게 확산되도록 노력하고 화재공제 등 재난 대비, 채무조정 등 금융지원, 폐업 후 재취업 재창업 지원 등 소상공인 안전망을 촘촘하게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상공인이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환경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 로컬크리에이터 등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에 기반한 소상공인을 발굴해 우리경제의 주역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며 "지금은 제조 중소기업이 단순히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단계를 지나기업 특성에 맞게 AI 기술을 내재화해 실질적으로 생산성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기로 스마트 제조산업 혁신법을 제정해 중소기업이 인공지능(AI) 활용을 내재화하는 문제부터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것까지를 아우르는 스마트 제조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창업·벤처기업이 우리 경제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며 "AI, 바이오, 모빌리티, 로봇, 친환경' 등 5대 초격차 분야의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대학창업, 사내벤처 등 다각도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는 우리나라가 벤처 30년을 맞이해 새로운 벤처 붐이 일어나는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며 "연기금 등 민간자금 벤처투자 시장 참여확대, 모태펀드 존속기간 연장 등 벤처투자 시장을 확대하고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도 마련해 세계 최고 수준의 벤처·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가 함께 성장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중소기업의 기술을 탈취하는 행위를 근절하는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 도입 △대기업과의 수·위탁거래에서 불공정 행위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에 신속하고 실효적 지원 △협상력이 낮은 수탁 중소기업이 정당한 거래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납품대금 연동제의 보완, 이 모두가 진짜 성장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들로 적극적으로 챙겨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5대 초광역권과 3대 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지역의 대학·연구기관, 중소·중견기업, 혁신 스타트업을 연결해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벤처·스타트업 창업 지원 인프라를 지역으로 확산해 지역의 청년과 여성, 시니어 창업자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역에서 강한 기업이 존재하는 산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산업을 발굴·육성하고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지역이 가진 고유 자원과 역량을 연결하고 집중 지원해 지역 선순환 기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