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대발생 소강상태…대응대책반 지속 운영
|
환경부는 11일 수도권 지방자치단체,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계기관, 학계 전문가와 곤충 대발생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일에 이어 두 번째 열린 회의로 곤충 대발생에 대비한 기관별 역할과 대응 절차를 재점검하고,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화해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1차 회의 이후 기존 환경부, 서울시, 국립생물자원관으로 구성된 곤충 대발생 대응체계는 인천시, 경기도까지 확대됐다. 또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추가하는 등 대응 협력 체계도 한층 보강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을 일으키는 대발생 곤충의 관리를 위한 제도 정비 △대발생 예측 및 관리 기술 연구개발(R&D) 확대 등을 중점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러브버그, 동양하루살이, 대벌레, 깔따구 등 대발생 가능성이 있는 곤충에 대한 지자체별 대응현황과 기관별 대응 체계를 공유하고, 대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점검한다.
환경부 소속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은 대발생 잠재 곤충에 대한 감시 현황, 방제 기술·요령 등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공유한다. 환경부 산하기관인 국립생태원과 국립공원공단은 외래종 유입 현황을 공유하고 국립공원 내에서 일부 곤충이 대발생할 경우 현장 안전 관리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환경부는 올해 계양산의 러브버그 사례처럼 곤충 대발생으로 인한 국민의 피해를 막기 위해 관계기관과 사전 준비를 철저하게 하겠다"며 "곤충 대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현장의 애로점을 개선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은 물론 제도적 개선에도 신속히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도권 러브버그 대발생은 7월 초를 기점으로 소강상태로 전환됐으며, 7월 중순에는 전국적으로 대발생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과거 곤충 대발생 사례를 고려할 때 7월 이후에도 러브버그 외 다른 곤충들이 언제든 대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24시간 비상 대응 대책반을 지속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