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및 개선된 투자 심리 기반
|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7월 세계경제전망(WEO)에서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 전망 대비 0.4%포인트(p) 높인 1.8%로 예측했다. 다만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2%p 낮춘 0.8%로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이 낮아진 데는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쳤다.
다만 두 차례 추경을 포함한 완화적 정책기조,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올해 2분기 중반 이후 개선된 소비 및 투자 심리 등에 기반해 내년 전망은 상향됐다.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은 "올해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은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예상보다 부진했던 상반기 실적에 기인한다"면서도 "한국은 올해 하반기부터 점진적 경기회복세가 시작돼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내년 전망은 1.8%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한편,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지난 4월 전망 대비 0.2%p 상향한 3.0%로 전망했다. 내년 전망은 0.1%p 상향해 3.1%로 올려잡았다. 선진국 그룹(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국)의 올해, 내년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각각 0.1%p 상향된 1.5%, 1.6%로 전망했다.
신흥개도국 그룹(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국)의 올해 성장률은 4월 전망 대비 0.4%p 상향한 4.1%, 내년은 0.1%p 상향한 4.0%로 예상했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어 있다"고 진단하고 "통상정책의 전개 양상이 리스크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라고 평가했다. 하방 요인으로는 실효 관세율 상승, 관세협상 결렬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가 기업 투자와 무역투자 흐름을 위축시키며 성장세를 약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했다. 지정학적 긴장이 공급망과 물가에 추가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미국, 프랑스 등 주요국의 높은 재정적자·국가부채로 인한 시장신뢰 악화, 장기금리 상승 등은 글로벌 금융여건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다만, 무역협상이 성과를 낼 경우, 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와 생산성 향상을 촉진하며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