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전지역 부동산 PF 단기물, 미분양 적체 등으로 구조적 리스크 ‘심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9010016993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07. 29. 17:04

sdf
지역별 단기물 비중 그래프.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대전지역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단기물 중심의 취약한 자금 구조와 미분양 증가로 인해 리스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29일 발표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지역의 부동산PF 유동화증권 발행잔액은 6월 말 기준 9826억 원으로 전국(41조 원) 대비 2.4%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체의 99.9%가 만기 3개월 내외의 단기물로 구성돼 있어 위험성이 크다.

이는 전국 평균(72.7%)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차환(借換) 리스크가 즉각 현실화될 수 있다.

우량물(A1 등급)의 비중은 70.4%로 전국 평균(78.3%)을 밑돌아, 금리 상승이나 시장경색 등 유사시 자금조달 여건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돼 있다.

또한 신용보강 방식에서도 문제가 심각했다. 대전지역 PF 유동화증권 중 건설사 보증 비중은 59.1%로 전국 평균(36.0%)을 크게 상회했다.

소수의 대형 건설사에 리스크가 집중돼 있어, 건설사의 재무상황 악화 시 지역 전체 PF 사업에 연쇄적인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주택시장 부진에 따른 미분양 주택 물량이 지속적으로 높은 것도 큰 문제로 꼽힌다.

대전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 5월 기준 1794호이며, 이 중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530호에 달한다. 일부 단지의 분양률은 60% 미만으로, 사업 부실화 가능성마저 대두되고 있다.

또 지난 6월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영향으로 수도권 부동산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지방 부동산까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관계자는 "대전지역의 PF는 겉으로는 안정된 듯 보이지만, 단기물 중심의 자금 조달구조, 비우량물 비중 증가, 특정 건설사 보증 의존, 높은 미분양률 등 여러 구조적 위험이 중첩돼 있다"며 "부실 사업장 정리 및 재구조화 유도 등으로 PF 리스크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