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KAI, 시제 제작 참여한 군 정찰위성 5호기 미국서 발사 성공… “우리 군 우주 전력 확보에 기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3010001173

글자크기

닫기

남현수 기자

승인 : 2025. 11. 03. 18:08

425사업으로 계획된 다섯 번째 최종 호기 발사 성공
위성 재방문주기 단축으로 대북 감시정찰 능력 확보
지속 발전 위한 후속사업 준비
사진1. KAI 시제제작 참여 425사업 위성 5호기 발사 성공
KAI 시제제작 참여 425사업 위성 5호기 발사 성공 장면./KAI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시제작한 군 정찰위성 5호기가 한국시간 11월 2일 오후 2시 미국 플로리다주 커네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를 사용하여 발사됐다.

3일 KAI에 따르면 425 사업은 고성능 합성개구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탑재 위성과 전자 광학(EO)/적외선 장비(IR) 탑재 위성을 군집하는 국방 감사정찰 위성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SAR 위성은 레이다 전자기파를 활용한 영상 촬영이 가능해, 광학 위성이 사용하는 가시광선의 한계를 벗어나 기상이나 주·야간 환경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번에 발사한 정찰위성 5호기는 '23년 12월 발사한 1호EO/IR위성과 '24~25년간 세 차례 발사(2호~4호) 성공한 SAR위성에 이은 고효율, 고해상도 성능의 다섯 번째 중형급 정찰위성이다.

KAI는 2018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와의 SAR위성체 시제제작 계약을 통해 SAR위성체 시제 제작업체로서 위성체 환경시험, 제작, 발사 등 개발 전반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DD의 체계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사업에 참여한 KAI는 우리 군이 독자전인 우주기반 정찰 전력을 확보하여 주요 관심지역의 관측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기여하였다. 또한 한국군의 독자적 감시정찰 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후속사업 또한 준비 중이다.

최근 KAI는 우주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 7월 민간 최초로 4톤급 대형 열진공 챔버(Thermal Vacuum Chamber)를 본사 우주센터에 구축하며 소형부터 대형위성까지 동시 시험할 수 있는 체계기반을 마련했다. 향후 전자파 시험 시설을 추가로 확보해 One-stop으로 '설계-제작-환경시험'에 이르는 위성 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한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우주센터를 완비하여 후속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장은 "425사업 5호기 위성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의 정찰능력 강화는 물론, 한국이 전 세계 우주강국들과 비견할 수 있도록 국방우주자산 및 발사체 개발"이 필요하며 "KAI는 대한민국 대표 우주전문 기업으로 위성과 재사용발사체, 우주서비스까지 사업으로 확대해 우주 실현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한편, KAI는 올해 11월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차세대 중형위성 3호 발사를 시작으로 내년(26년)에는 차세대 중형위성 2호/4호를 순차적으로 Space-X 팰컨-9을 통해 발사할 계획이다.
남현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