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매우 중요한 존재...한일 협력 분야 많아"
"이시바 총리와 협력 확대 논의, 한미일 협력 강화"
요미우리, 1면 톱과 해설 기사 등 대대적 보도
|
오는 23일부터 이틀간 일본을 방문하는 이 대통령은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이지만,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
이 대통령은 "정책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는 한편, 국민과 피해자·유족 입장도 진지하게 고려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위안부·징용 등 역사 문제가 한국 국민에게는 "가슴 아픈 주제"라면서 "되도록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해 대립적으로 되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일 양국이 장기적이고 '보다 인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할 것을 제안하고, 한국 국민의 감정에 대한 배려도 요청한 것이다.
앞서 박근혜 정부는 2015년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와 위안부 문제에 합의했고, 윤석열 정부는 2023년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 소송 해결책으로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일본 피고 기업 대신 배상금 등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안'을 제시했다.
|
이 대통령은 일본에 대해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가야 한다"며 경제·사회·문화·환경 등 양국이 협력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이 미래 지향적 협력을 추진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받는 1998년 김대중-오부치(小淵) 공동선언에 대해 "한·일 관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하면서 "선언을 계승해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발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6월 한 달간 시범적으로 시행됐던 한·일 전용 입국심사에 대해 "합의가 이뤄지면 재설치가 가능하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일본 측이 요구하는 일본 일부 지역산 수산물 조기 수입에 대해서는 아직 곤란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일부 지역 수산물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신뢰는 개별 문제"라며 "한국 국민의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
이 대통령은 23일 예정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과 관련, "어떤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지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라며 경제·안전보장·인적 교류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신뢰를 쌓아나가기 위해 한·일 정상이 자주 상호 방문하는 '셔틀 외교'의 유용성도 강조하면서 "일본 총리도 시간이 허락할 때 한국을 찾고 수시로 왕래하는 등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 "평화적으로 공존해 위협이 되지 않도록 서로 인정하고 존중해 함께 번영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북한과 대화,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일본에 이어 24~26일 미국을 방문하는 이 대통령은 "한미동맹은 매우 중요하고, 일본에도 미일동맹이 (외교정책의) 기본 축"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한·미·일 3국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미, 한·일, 한·미·일 협력이 강력한 토대가 돼야 한다"며 "경제든 안보든 기본 축은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관계"라고 거듭 말했다.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 것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5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린 히로시마(廣島)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이번 인터뷰는 지난 19일 대통령실에서 오이카와 쇼이치(老川祥一) 요미우리신문그룹 대표이사·회장 겸 주필이 약 1시간 반 동안 진행했고,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한국 언론을 포함한 보도기관과 대면 인터뷰를 한 것은 처음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요미우리는 이날 조간신문 1면 머리기사로 이 대통령 인터뷰를 싣고, 다양한 해설 기사와 인물 소개 기사 등을 풍부하게 배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