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日 간 가교 역할 하고파”…국위선양 재외동포 언론인 방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3010007164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11. 13. 16:40

KakaoTalk_20251113_154359512_03
(왼쪽부터) 강형원 전 LA타임즈 사진기자, 황진이 전 아르헨티나 텔레페TV 메인 앵커, 신기 일본 지지통신사 외신부 기자. /정채현 기자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단순히 찬반이 아닌 복합적 현실이 존재한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재일동포들의 가교 역할을 하고 싶다"

재일교포 3세인 신기 일본 지지통신사 외신부 기자는 한국을 찾아 "한국과 일본 사이에 그 복잡함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재일동포 언론인의 사명"이라고 밝혔다.

미국, 일본, 아르헨티나 등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재외동포 언론인들은 11일부터 16일까지 한국에 머물면서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고, 국내 언론과 소통한다. 재외동포청 초청으로 방한한 이들은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재외동포 언론인 초청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강형원 전 LA타임즈 사진기자(미국), 황진이 전 국영방송 텔레페TV 메인 앵커(아르헨티나), 신기 지지통신사 외신부 소속 기자 등 3명이다.

신 기자는 본인의 조부모가 일제강점기 당시 경상도에서 히로시마로 이주했으며 1945년 원폭 피해 후에도 히로시마에 남아 재일민단에서 원폭 피해자 지원 운동을 이어왔다고 소개했다. 그는 "다양성과 인권, 다문화 사회를 주제로 한 기사를 지속해 쓰고 싶다"며 '소수자'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기자로 일한다는 자부심이 크다고 말했다. 또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단순히 찬반이 아닌 복합적 현실이 존재한다"며 "그 복잡함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재일동포 언론인의 사명"이라고 했다.

LA타임스, 로이터, AP통신, 백악관 사진부 등에서 근무하며 퓰리처상을 2회나 수상한 강형원 포토저널리스트는 "포토저널리즘은 한 장의 이미지로 세상을 바꾸는 힘을 가진다"며 문화적 레퍼런스가 뒷받침 돼야 '스토리' 있는 사진이 완성된다고 밝혔다. 그는 "1987년 광주 민주화운동과 1992년 LA 폭동을 취재하며 한국인의 저항과 존엄을 세계에 알렸다"며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던 것은 '뉴스가 역사의 기록'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국을 비롯해 서양 교욱에서 동양의 역사가 중요하게 다뤄진 적이 없다" 지적하며 한국이 존중받는 국가가 되기 위해선 우리가 먼저 한국을 깊이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kaoTalk_20251113_154359512_05
황진이 전 아르헨티나 텔레페TV 메인 앵커의 발표 모습. /정채현 기자
아르헨티나 최대 방송사 텔레페에서 중남미 최초 한국계 앵커로 활동했던 황진이 앵커는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났지만, 한국 이름은 황진이,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이 방송의 원동력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수백 명의 스페인어 원어민 속에서 단 한 명의 한국인이라는 점이 나의 차별화였다"며 "언어와 외모의 다름이 오히려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청소년들에게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어와 스페인어를 함께 사용하는 콘텐츠는 한류와 언어문화 교류의 새로운 다리가 된다"며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는 기술보다 감정과 문화의 연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앵커는 현재 CNN 스페인 등에서 AI 관련 뉴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유튜브 채널 '지니 채널'을 운영하며 한국 문화를 널리 알리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는 여전히 한국 이름으로 활동하며 방송 때마다 한국말로 끝을 맺는다.

이들은 이번 방한기간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국내 언론사 방문 등의 일정도 소화한다. 이후 인천에 있는 한국이민사박물관을 돌아보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진행하는 강의를 통해 모국 언론 환경 및 미디어 구조에 대해 이해를 높인다.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은 "이번 초청을 통해 세계 주요 언론 현장에서 활약하는 한인 언론인들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국내 언론계와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행사를 주관한 김민철 재외동포청 교류협력국장은 "해외에서 한국의 이름으로 활동하는 언론인들은 대한민국의 얼굴이자 신뢰의 통로"라며 "오늘 이 자리가 전 세계 언론인들이 한국과 세계를 잇는 새로운 네트워크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