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안전앱에 위험환경 인식·퀴즈 기능 강화
|
행정안전부는 교육부, 삼성전자, 삼성화재와 함께 오는 18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어린이 보행안전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상반기 전국 초등학생 400여 명이 참여했던 프로그램을 확대한 것으로, 이번에는 부산 해운대초, 울산 울산초, 경남 교방초 등 동남권 3개 학교 어린이 580명이 참여한다.
캠페인의 핵심은 보행안전앱을 통한 '생활형 안전학습'이다.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자제 알림 △전방 위험요소 실시간 감지(계단·장애물 등) △교통안전수칙 퀴즈 등 기능을 통해 아이들이 걸으면서 자연스럽게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반기 참여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해 앱의 인식 정확도와 편의성도 개선됐다. 앱을 열면 자동으로 챌린지에 참여하도록 바뀌었고, 위험환경 탐지 기능 역시 고도화됐다.
어린이가 보행사고에 특히 취약한 이유는 신체적·인지적·행동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키가 낮아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가려지고, 차량 전면 사각지대에 들어가기 쉽다.
또한 위험을 예측하거나 상황을 판단하는 인지 능력 역시 충분히 성숙하지 않아,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정확히 가늠하기 어렵다. 언제 건너야 하는지, 어느 정도 거리가 안전한지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해 돌발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기 힘들다.
어린이의 행동 특성도 사고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 친구를 따라 갑자기 도로로 뛰어나가거나, 공을 줍기 위해 차도로 진입하는 등 즉흥적 행동이 잦고, 횡단보도에서도 예측하기 어려운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특성은 운전자가 미리 행동을 예상하기 어렵게 만든다.
행정안전부는 캠페인을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고 보행문화 개선 정책과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어린이 보행사고의 상당수가 등하교 시간대·횡단보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만큼,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을 최소화하는 행동교육과 지역 보행환경 개선을 병행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황기연 행안부 예방정책국장은 "어린이는 시야 범위가 좁고 위험 상황을 성인이처럼 판단하기 어려워 사고에 더 취약하다"며 "어릴 때부터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어린이가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교육·시설 개선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