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비즈니스 부문 김종석 평화그룹 회장· 김주영 평화그룹 사장
여성 기업가 부문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
|
EY 최우수 기업가상은 혁신과 열정으로 세상을 바꾸는 기업가들을 기리는 세계적인 권위의 비즈니스 어워즈로, 40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1986년 미국에서 시작해 현재 전 세계 94개 국가 및 지역에서 매년 1000여 명의 기업가들을 발굴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개최돼 올해로 19회를 맞았다. 올해의 글로벌 테마는 '미래를 개척하는 혁신가들(The Shapers)'로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하며 담대한 미래를 열어가는 혁신가들을 조명했다.
심사는 독립적인 심사위원단(위원장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영향력(Impact)', '기업가정신(Entrepreneurial Spirit)', '목표 지향(Purpose)', '성장(Growth)' 등 네 가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탁월한 리더십으로 산업 내 확고한 위치에 자리매김한 기업가에게 수여되는 최고상인 마스터 부문은 정몽원 HL그룹 회장이 선정됐다. HL그룹은 HL만도, HL클레무브, HL로보틱스, HL디앤아이한라 등 미래 모빌리티와 로봇기술, 건설을 영위하고 있다. 정 회장은 IMF 외환위기 속 그룹 해체 위기를 기회로 바꾼 기업가정신이 돋보이는 기업가로, 매각됐던 자동차 부품사 만도를 2008년 재인수해 그룹을 재건했다. 정 회장의 도전정신과 자동차 부품을 넘어 전기차,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내다본 선구적 안목이 이번 수상의 핵심 배경으로 평가됐다.
정 회장의 도전정신은 경영을 넘어 스포츠를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으로도 이어졌다. 1994년 아이스하키팀 만도 위니아(현 HL안양)를 창단해 비인기 종목 육성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했다.
꾸준한 지원의 결과 HL안양은 아시아리그 통산 9회 챔피언에 올랐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정 회장은 대한아이스하키협회장으로서 남북 여자 단일팀을 이끌어내며 스포츠를 통한 평화의 상징을 만들어냈다.
선대의 창업정신을 이어 기업을 이끌어 온 가족 기업가에게 수여되는 패밀리 비즈니스 부문은 3대에 걸쳐 75년의 역사를 이어온 평화그룹의 김종석 회장과 김주영 사장이 선정됐다. 1950년 고무 지우개 제조로 출발한 평화그룹은 2세인 김종석 회장 주도 하에 오일씰, 오링 등 자동차 핵심 부품의 국산화에 성공했고, 이후 3세 김주영 사장은 전기차·수소차 등 미래차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며 글로벌 시장을 확장했다. 75년간 단 한 차례의 노사분규 없이 이어온 '사람이 평화그룹의 가장 큰 자산'이라는 경영 철학 아래, 평화그룹은 기술력과 신뢰, 지역사회 상생의 가치를 지켜온 가족 기업으로 평가받았다.
여성 기업가 부문은 산업 내 성장이 돋보이는 기업을 운영하는 여성 기업가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뛰어난 트렌드 감각과 사회적 책임 경영으로 주목받은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에게 돌아갔다. 김 회장은 산업 변화를 읽는 통찰력으로 다양한 소재 시장에서 선두를 지키며 드라이아이스, 친환경 포장재 등 신시장을 개척했다. 또한 국내 최장수 민간 장학재단인 송원김영환장학재단을 통해 42년간 장학사업을 펼치고 있다. 김 회장은 태경그룹의 성장이 장학재단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사회 환원의 선순환을 이루는 것이 기업의 존재 이유라고 강조한다.
단기간 내 뛰어난 재무성과와 지속적인 성장성으로 주목받는 기업가에게 수여되는 라이징 스타 부문에는 '미스트 세럼'이라는 새로운 뷰티 카테고리를 개척한 반성연 달바글로벌 대표이사가 수상했다. 달바글로벌은 소비자의 불편을 해결하는 혁신 제품을 잇따라 선보였다. 또한 소비자가 요구하는 안전한 성분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탈리아산 화이트 트러플을 핵심 성분으로 한 프리미엄 비건 뷰티에 주목했다. 후발주자임에도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으로 창업 9년 만에 매출 440배 성장을 달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로 사회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변화를 이끈 기업가에게 수여되는 소셜 임팩트 부문에는 이수인 에누마 대표가 수상했다. 에누마는 학습이 어려운 아이들도 포기하지 않도록 게임형 학습 앱 '토도수학'을 개발했다. 이후 탄자니아 시골 마을 아이들이 교사 없이도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만든 '킷킷스쿨'로 일론 머스크와 유네스코가 엑스프라이즈 재단과 주최한 글로벌 러닝 엑스프라이즈 경연대회에서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에누마는 한국에서는 공교육을 위한 AI 디지털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도상국의 학교와 난민캠프 등에 기초교육 솔루션을 보급하며 전세계의 교육 격차 해소에 앞장서고 있다.
박용근 EY한영 대표이사는 이날 시상식에서 "올해의 수상자들은 변화를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며 산업의 경계를 넘어 시장을 개척해 온 창조적 리더이자 혁신가들"이라며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산업의 경계를 넓혀가며, 우리 사회와 미래 세대에 지속적인 영감을 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