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상용화 격차 확대… 초기 점유 효과 주목
현대차, 웨이모 협력 확대… 정부 2028년 양산 목표
|
17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 'X'를 통해 국내 도로에서 FSD 감독형 기능을 활용한 주행 영상을 공개하며 국내 도입을 예고했다. 한국GM도 슈퍼크루즈가 적용된 캐딜락 플래그십 전기 SUV '에스컬레이드 IQ'를 오는 19일 출시한다. 두 기술 모두 운전자의 전방 주시 의무는 유지되지만, 스티어링휠을 잡지 않아도 차량이 조향과 가감속을 수행하는 '핸즈프리 주행'이 핵심이다.
미국 브랜드가 국내 기업보다 먼저 상용화에 나서는 배경에는 통상환경 변화가 자리한다. 한미 FTA에는 미국에서 인증한 미국산 자동차 5만대는 한국 인증을 면제한다는 조항이 있는데, 최근 관세 협상 과정에서 이 제한이 사실상 무력화되며 미국산 차량의 국내 진입 문턱이 낮아졌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미국발 자율주행 기술의 한국 상륙 촉매제"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다만 현 시점에서의 영향은 제미미한 수준이다. FSD 감독형을 사용할 수 있는 테슬라 차량은 미국산 모델로 한정되는데, 국내 등록 차량 대부분은 중국 상하이 공장 생산분이다. 캐딜락 역시 국내 판매 기반이 크지 않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는 상황이 다르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에서 초기 우위로 장기 지배력을 확보했듯, 자율주행에서도 '초기 점유 효과'가 반복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율주행 경쟁력을 판가름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역량"이라며 "기술 자체는 뒤처지지 않더라도 데이터 축적 속도가 늦으면 상용화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최근 'K-모빌리티 글로벌 선도전략'을 발표하고 2028년 자율주행차 양산을 목표로 제도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6년까지 자율주행 데이터 공유·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임시운행 제한구역 완화, AI 학습 영상 비식별 처리 의무 완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확대 등을 추진해 국내 기업의 데이터 기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도 글로벌 협업을 강화하며 추격 속도를 높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웨이모와 협업해 아이오닉5 기반 로보택시 호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자율주행 기반 MaaS(서비스형 모빌리티) 실증을 늘려 소프트웨어·데이터 역량을 축적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격차를 방치하면 향후 시장에서 수십 배 차이로 벌어질 수 있다"며 "자율주행은 국가 산업 기반 전체를 흔들 수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








![[사진 2] 에스컬레이드IQ 외관_2 (2)](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18d/202511170100148040008750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