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기존 29만1000명서 89% 내린 3만3000명 ↑
트럼프 관세정책, 미 고용시장 타격 시작
전문가 "불황 아닌데 3개월 연속 일자리 증가 산업 절반 이하 전례 없어"
|
그동안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다고 발표됐던 5∼6월 고용 증가 폭도 이례적으로 무려 89% 가까이 대폭 하향 조정됐다.
미국 노동부는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했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0만명)를 크게 밑돈 수치다. 실업률은 4.2%로 한 달 전 4.1%에서 반등, 전문가 예상 수치에 부합했지만, 27주 이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자 수는 6월 165만명에서 7월 183명으로 증가했다.
노동부는 특히 지난 5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 폭을 종전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12만5000명이나 내렸고, 6월 증가 폭은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무려 13만3000명 하향 조정했다. 5~6개월 개월간 내린 일자리 증가 폭이 무려 25만8000명에 달할 것이다.
노동부가 직전 통계치를 조정하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이지만, 이처럼 대폭 조정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다.
미국의 고용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가져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양호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는데, 실제는 이미 크게 위축돼 있었음을 보여준다.
5∼7월 3개월간 월평균 고용 증가 폭은 3만5000명으로, 지난해 월평균 16만8000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
|
미국 투자은행 웰스파고의 사라 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불황이 아닌 상황에서 3개월 연속으로 일자리를 늘린 산업이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기업들은 향후 동향을 지켜보기 위해 그들의 인원수를 현상 유지하고 있다"가 진단했다.
실제 7월 제조업 고용은 1만1000명 감소했고, 연방정부 고용은 1만2000명 감소, 올해 들어 총 8만4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5만5000명)·사회지원(1만8000명) 부문이 그나마 7월 고용 증가를 지탱했다.
이날 고용보고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30일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한 지 2일 만에 나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동결 후 회견에서 "노동시장에 하방 위험이 명백히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고용보고서 발표 이후 전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임명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이 2024년 일자리 증가 수를 과장했다고 주장하면서 "내 팀에게 이 바이든 정무직을 즉각 해고하라고 지시했다. 훨씬 더 유능하고 자격 있는 누군가가 그녀를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