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다를 것…산재 없는 노동현장 목표"
|
정 대표는 6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연 정책협의회에서 "이재명 정부는 좀 다를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지금까지 산재 없는 노동현장을 계속 강조하고, 국정의 주요 목표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동자·노동조합은 영원한 동반자다.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민주노총의 목표이며 동시에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의 목표"라고 밝혔다.
또 정 대표는 윤석열 정권을 겨냥해 "윤석열 정권에게 노동자란 그저 한낱 기업의 이익을 위한 도구였을 뿐 국가 경제를 함께 이끌어가는 주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며 "멸시와 통제, 감시와 억압이 윤석열 정권의 노동 정책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향후 노동 관련 입법 목표도 밝혔다. 정 대표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노동의 형태가 다양해질수록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프리랜서 노동자"라며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일터 권리 보장을 위한 기본법 제정과 노동자 추정 제도 도입은 이미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과제로 채택돼 있다. 잘 처리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 대표는 "기업 규모가 천차만별하고 격차도 심화되고 있다"며 "초기업 교섭을 활성화해 단체협약의 효력을 동일업종 내 노동자들이 함께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노동자의 작업중지권 확대 역시 노동자 스스로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입법 과제"라며 "한 명의 노동자라도 산재로 희생되는 일을 막아낼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원 공무원의 정치기본권을 보장하는 일도 개인적으로는 깊이 공감한다. 법정 정년 65세를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일 역시 이미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과제에도 상당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책협의회에는 민주당에서 정 대표와 함께 한정애 정책위의장, 안호영 환노위원장, 김현정 대외협력위원장, 박홍배·이용우·권향엽 의원 등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