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비 마련 가장 큰 비중 차지
“디지털 전환 맞춤 교육 필요”
|
8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신규 노인 일자리 개발을 위한 아이템 공모전을 국가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오는 9일부터 6월 12일까지 개최한다.
기존에는 각각의 기관을 대상으로 했지만 올해부터는 공모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응모 대상 기관을 통합해 실시한다. 공모 분야는 노인 일자리 신규 직무(노인역량활용) 또는 신규 활동(노인공익활동)이다.
그동안 정부는 노인 일자리 공급에 주력해 왔다. 복지부는 오는 2027년까지 노인 인구 10%에 해당하는 노인 일자리 12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다. 노인일자리 수는 2023년 88만3000개에서 지난해 103만개로 늘었다. 올해는 109만8000만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에 집중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층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전국 65세 이상 노인 9955명을 대상으로 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요건을 갖춘 실수요층은 전체 노인의 10.7%로 나타났다.
노일일자리사업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계비 마련(49.4%)이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 유지(18.7%) △용돈 필요(17.8%) △여가·친교(10.3%) 순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치단체들도 노인 일자리 정책에 힘을 싣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시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부산시의회에서 '환경(ESG)여행 도슨트'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장노년층의 경제적 자립과 활기찬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은 2027년까지 시니어 일자리 445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의 경우, 어르신의 생활 안정과 사회참여를 돕기 위해 올해 일자리 어르신 예산 2728억원 중 약 70%를 상반기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디지털 문해 교육 보조, 택배 분류 보조 등 시대 변화에 발맞춘 직무도 늘리고 있다.
다만 빠른 속도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노인들이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끊임없는 교육을 지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제는 노인 일자리가 빈곤 문제 해소를 넘어 우리 사회의 사회적 비용을 덜어내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는 이유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노인 빈곤 문제 완화와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 부담 해소를 위해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시대 흐름에 맞는 직무 교육 확대, 산업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