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과거사·中 조선업제재 협의 필요
|
특히 '한미 안보·관세협상의 명문화'가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앞서 한미 정상은 회담을 통해 관세 협상 타결에 이르렀지만,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이 아직 남아 있다. 관세 분야에서는 '경쟁국인 대만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조건'이라는 반도체 관세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될지와 "한국이 시장을 100% 개방하기로 했다"는 미국 측 주장과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에 대해 철저히 방어했다"는 우리 정부 측 입장이 어떻게 정리될지도 주목된다.
안보 분야에서는 우리 정부가 원하는 우라늄 농축과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에 관한 권한을 원자력 협정 개정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 여부와 미국 측의 핵추진 연료 제공과 관련한 내용이 최종적으로 어떻게 반영될지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자체적인 전망으로는 (한미 관세·안보 MOU 및 공동팩트시트는) 이번 주 내에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양국 간 이견이 크게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일 외교도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이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와 셔틀외교 및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지만 '뇌관'인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 대중 관계에 있어서도 한한령·한화오션 제재·서해 구조물 등의 과제를 남긴 중국과의 지속적인 협의도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