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의로]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증권사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4.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1010005659

글자크기

닫기

윤서영 기자

승인 : 2025. 11. 11. 18:13

최근 들어 증권사들의 화두는 소비자보호와 고객 신뢰가 된 모습이다. 사실 그동안 업권별로 소비자보호와 신뢰에 대한 경중(?)을 따져봤을 때, 증권사는 가장 낮은 업권에 속했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인식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급변하고 있다. 그동안 없던 소비자보호 조직이나 내부통제 강화 TF 등을 CEO(최고경영자) 직속으로 신설하며 신뢰회복에 나서고 있어서다. 물론 100% 자발적이라 보기는 힘들다. NH투자증권은 IB 고위 임원이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가족 계좌 등으로 20억원 규모의 부당이득을 취했고, 한국투자증권도 전액 손실난 벨기에 펀드 사태로 고객 민원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NH투자증권의 부당이득 사태는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NH투자증권은 현재 이번 일을 전화위복 삼아 시장의 신뢰를 얻겠다는 설명이다.

실제 가장 선제적으로 NH투자증권이 나섰다. 사장 직속으로 내부통제 TF를 만들고 IB임원 대상 국내주식 거래를 전면 금지시켰다. 이후 IB임직원들 대상 이상거래시 들여다볼 수 있도로 해 부정행위 조사에 나서겠다는 방안도 마련했다. 고강도 쇄신을 위한 파격적인 내부통제 대책들이었다. 이번 정부가 '코스피 50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자본시장의 신뢰 회복에 적극 나서겠다는 취지에서다.

증권사들의 이같은 대책에 금융당국은 미묘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IMA(종합금융투자계좌) 인가 신청을 낸 곳들이라는 점에서 이같은 대책들이 '보여주기식'으로만 끝날 가능성이 있어서다. 실제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발행어음 인가 심사였다면, 이같은 부정사고들은 심사 중단 요건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만큼 내부통제와 소비자보호 이슈에 있어서 신사업 허가를 내주기엔 어려운 금융사고라는 얘기다. 하지만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종투사 지정과 발행어음 인가 심사와 달리 IMA 심사 요건에는 중단 사항이 없다. 어쩔 수 없이 이같은 금융사고에도 심사에는 착수하겠다는 방침이다. IMA인가받은 증권사들이 투입할 모험자본 또한 정부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는 점도 고민스러운 부분이다.

일각에선 증권사들의 내부통제 대책 등을 두고 '소잃고 외양간을 고친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사고에다 IMA 인가 이슈로 인해 뒤늦게 소비자보호에 나선게 아니냐는 얘기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증권사들이 다양한 소비자보호를 위해 나서고 있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모든 금융사고를 100% 예방하는 사전 대책이 어디 있을까. 소를 잃어도 외양간을 고치는 사후 대책 또한 중요하다. 증권사들이 이번 사태들을 계기로, 고강도 사후대책을 내놓으면서 소비자보호를 위한 쇄신에 성공한다면 고객 신뢰 회복은 자연스레 뒤따를 것이다.
윤서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