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여성노동조합·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참여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 지역 조합원들이 이날 총파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지난 8월부터 교육 당국과 집단임금교섭을 이어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해 파업을 결정했다. 올해 4월 기준 연대회의 소속 조합원은 약 9만4000명이다.
교육 당국은 급식·돌봄 업무 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학교별 대응책을 마련했다. 급식의 경우 식단을 조정하거나 빵·우유 등 대체식을 제공힐 예정이다. 돌봄교실은 대체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당일 돌봄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특수학교는 학교별 상황에 맞춰 단축수업 등 탄력적 운영 계획을 세웠다.
이번 파업은 권역별 릴레이 방식으로 이어진다. 20일 서울, 인천을 시작으로 21일에는 광주·전남·전북·제주 조합원들이 파업에 나선다. 다음 달 4일에는 경기·대전·충남, 5일에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지역 노동자들의 파업이 예정돼 있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은 지난해 12월 6일에도 하루 동안 진행됐다. 당시 파업으로 전국 급식 대상 학교의 30.7%인 3910개교가 급식을 제공하지 못해 도시락 지참이나 빵·우유 대체식 제공이 이뤄졌고, 돌봄 프로그램 운영도 크게 제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