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민주노총이 새벽배송 금지 제한을 주장하면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서비스 중단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20일 국회전자청원에 따르면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글이 올라와 1만3000명 넘는 동의를 받았다.
중학생과 초등학생 두 자녀를 둔 한 맞벌이 가정의 학부모는 청원을 통해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막는 건 새벽배송 금지와 다르지 않다"며 "맞벌이 가정과 학부모, 1인 가구 등 수많은 국민의 일상에 직접적인 피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육아·가사·직장생활을 병행하는 상황에서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 |
| /스레드 캡쳐 |
반면 새벽 배송이 필수인 게 맞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벽 배송과 물류센터에서의 야간 노동 경험을 기록했다.
그는 "아침에 녹즙 배달을 한 지 두 달이 흘렀고, 최근 3주짜리 단기 알바를 추가로 시작했다"며 쿠팡 물류센터에서의 근무 경험을 소개했다. 박 전 위원장은 "8시간 노동에 19만 원을 받았다고 글을 올렸을 때 많은 기사가 쏟아졌지만, 그 금액은 신규 인력에게만 제공되는 일회성 프로모션이었다"며 "오래 일할수록 오히려 수당이 줄어드는 구조"라고 적었다.
박 전 위원장은 "생계가 급한 사람들이 선택 아닌 '강요된 선택'을 하게 되는 현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어떠한 노동은 누군가의 생계 그 자체이며 개인 의지로 해결되지 않는 구조 속에 있다"고 했다.
이어 "우리가 누리는 '빠름'과 '편리함'은 누군가의 시간과 몸을 비용으로 삼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구조를 그대로 둘 것인지 묻게 된다"고 지적했다.















